달팽이 요리는 파리보다 스페인이 더 맛있습니다.

산티아고에 도착했으니 기념으로 가볍게 한잔을....

 

이 때 깨달았다.

가볍지 않을거라는것을.

 

가게 주인이 한잔씩 서비스로 줬는데 왜 서비스가 돈 주고 산 것보다 독한걸까.

대성당 뒷골목 술집. 

분명 미사 전에 취하지 않을 정도로 가볍게 마시기로 했는데...

 

우린 안될거야 아마...

 

그래도 미사시간 한시간 이십분 전부터는 그만 먹고 술 깨려고 다들 노력 많이 했다.

노력이 배신한건 안비밀.

 

플래쉬로 자체 모자이크.

이때쯤부터 다들 반쯤 맛이 갔다.

 

축구 이야기를 많이 할 수 밖에 없는데 이탈리아, 스페인 애들은 루저라고 놀릴수가 있었다.

얘는 독일애라서 2014년 저 때는 놀릴수가 없었는데 이제는 놀릴 수 있다.

 

미사시간이 되서 대성당으로 다시 이동.

순례여행 후반부에 스페인 중학교 수학여행에 묻어간 덕분에 제대 바로 앞에 앉을 수 있었다.

 

사진이 흔들린건 노력이 배신해서 그렇다.

내가 언제 유럽에 있는 대성당 맨 앞에서 미사를 드릴 수 있을지도 모르고 평생 못해볼 일이 될 수도 있는데 젠장.

이 자리가 얼마나 앞자리였냐면 보통 성당은 제대 앞에 좌석이 있고 제대와 좌석 사이 빈 공간이 있는데 그 빈공간에 앉으라고 해준거다.

여기는 단체니까 좌석은 다른 먼저 온 순례자들에게 양보하라고 그렇게 해줬다고

 

뒤에 있던 한국 사람들이 나보고 쟤는 뭔데 저기있지 라는 의혹(...)의 눈빛을 쏴줌.

산티아고 대성당의 보타포메이로(대향로)

중세에는 지금처럼 수도 시설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여기까지 걸어 들어오면 땀과 피, 쩐내 나는 옷들로 순례자들에 몸에서 악취가 장난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래서 미사시간에 저렇게 대형 향로 분향을 통해 냄새를 지워줬다고 한다.

지금은 자본주의가 많이 묻어서 누군가 300달러 이상 기부를 해야 미사 중간에 이거 해준다고 한다.

동영상을 찍었는데 날아갔다. 그래서 역동적인 사진으로 대체 (...)

 

바로 앞에서 향로가 휙휙 날아다님.

저 뒤에는 여기 대학교에서 음악 공부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성가대.

 

분향 후에는 미사 끝날때까지 향을 계속 피워둔다.

향 냄새는 뭐 한국에 있는 성당에서 쓰는 향과 비슷한데 여기가 좀 더 맵다.

미사 끝났으니까 다시 가볍게 한 잔 하면서 곧 있을 챔피언스리그 8강전 이야기 시작.

(레알마드리드 vs 도르트문트 1차전, 레알이 이겼는데 가게 주인이 신나서 테이블마다 술 돌림)

챔스8강 1차전 끝나고 레알 뽕에 취해서 신나게 놀다보니 어느새 자정이 넘었다.

술 더 먹는다고는 하는데 피곤해서 난 먼저 자러 갔다.

 

북적거렸던 오브라이도 광장이 텅 비었다.

 

내일은 피니스테레를 가 볼 예정이다.

 

Posted by 우중간플라이
,

3월 2일 일요일. 유럽은 밤에 더럽게 춥다. 한국에서도 안걸리는 감기를 여기서 하루밤만에 걸릴줄은 몰랐다.

오늘 드디어 생장으로 간다. TGV 열차시간은 2시 30분, 노트르담 대성당 미사시간은 12시 45분. 이렇게 된 이상 노트르담 대성당으로 간다.






세느강을 끼고 살짝 돌아서 직진. 노트르담 대성당이 보인다. 

170년 동안 지어진 성당답게 4면이 모두 다르게 생겼다.





노트르담 대성당 안에는 그 유명한 잔 다르크 동상이 있다.

잔 다르크가 화형당하기 전 마녀로 재판받은 장소도 이 곳 노트르담 대성당, 후에 성녀로 인정받은 곳도 이 곳.

마녀로 몰렸던 곳에서 성녀로 인정받아 동상이 서있다니 아이러니하다.



 





노트르담 대성당 내부는 대충 이렇게 생겼다. 제대 뒤로 돌아가면 성가대 자리 뒤에 저렇게 열 두 제자의 부조가 새겨져 있다. 

스페인에서 보게 될 대성당들의 구조도 노트르담과 유사했고 미사 중에 관광객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점 등등

다소 산만한 느낌이 없잖아 있었다.



노트르담 대성당 정문 앞에 있는 '뽀앵제로' 이걸 밟으면 파리에 다시 오게 된다는 전설이 있다.

물론 난 전설따윈 믿지 않지만 지긋이 밟아본다.

TGV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관계로 허겁지겁 몽파르나스 역으로 간다.

파리 지하철은 참 좋은게 도시가 작아서 역 간의 이동시간이 엄청 짧다. 

생각보다 빠르게 몽파르나스역 도착. 


몽파르나스역은 우리나라 용산역과 비슷하기도 하고 인도 기차역..-_- 과 비슷하기도 하다. 

한 마디로 번잡스러움의 최고봉을 달린다고 보면 된다.

안내방송도 프랑스어로만 나오고 열차 탑승 플랫폼이 30~40분 전에 전광판에 뜨는데 엄청나게 사람 많다.

정신 차리고 플랫폼 뜨자마자 이동해도 탑승해서 내 자리에 앉는데 최소 15분은 걸린다.


무사히 탑승하고 아스피린 먹고 잔다.

피레네 근처에 스키장이 있는지 스키나 보드를 들고 타는 가족단위 여행객도 많다.

7시간 정도 달려서 바욘 역으로 도착.



바욘역에는 비가 온다.

이 곳은 카미노 데 노르테, 북쪽길과 카미노 데 프랑세스의 마지막 갈림길이다.

시간이 너무 늦어서 노숙을 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 날씨가 생각보다 춥다.

바욘역에서 나와 비슷한 배낭을 진 사람들이 모인다. 

물론 서로 한번 쓱 쳐다보고 각자 자기 할 일만 하는데 나는 멍 때렸다.



한시간 후 생장행 열차 도착. 탄다.

독일사람 둘, 이탈리아 사람 하나, 아르메니아 사람 하나. 한국 사람 나. 

총 5명이서 열차안에서 통성명도 하고 떠들다가 생장 도착.

근데 비가 이젠 퍼붓는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풍경이고 자시고 일단 순례자 사무실로 뛴다. 


정말 다행스럽게도 사람이 있다.

크레덴시알을 발급 받고 알베르게로 이동해서 잠을 잔다.

너무 늦어서 저녁은 못 먹었지만 밤 10시에 도착해서 침대에서 잔다는 자체가 행운인것 같다.

이것도 비수기라 가능한거지 성수기였으면 진짜 시즌 1호 노숙자 됐을 듯...ㄱ-




이제부터 산티아고 대성당에 도착하는 순간까지 난 순례자다. 

노란 조개, 노란 화살표만 보고 걸어가면 된다.

정말 오랫동안 가고 싶었던 길의 시작점. 이제까지 살면서 최고로 설레였고 나중에 카미노를 마치고 나서도 가장 설레였던 순간 순위권에 드는 것 같다.




연금술사의 한 구절을 써 놓은것 같은데 프랑스어를 모르기 때문에 생략한다. ㄱ-

아마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마침내 그 꿈을 닯아간다.' 가 아니지 않을까 추측해본다.

아님 말고.



물 두병 4유로.

파리 지하철 3.40 유로.

생장 알베르게 + 크레덴시알 발급 8유로.

총 15.40유로 사용.


'가출 > ㄴ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3월 1일. 파리-에펠탑.  (0) 2014.04.15
Posted by 우중간플라이
,